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업의종류
- 직장인부업
- 코스닥제약
- 직장인알바
- 스태그플레이션
- 중고책부업
- 택배기사월급
- 온라인부업
- 유니콘기업
- 야놀자
- 부업종류
- 인플레이션
- 교사월급
- 데카콘기업
- 부업노하우
- 야놀자분석
- 중고책판매
- 직업소개
- 어린이집교사
- 직장인공식
- 직업분석
- 교사연봉
- 기업분석
- 오프라인부업
- 부업
- 영어교정
- 부업공식
- 직장인생활백서
- 물가상승
- yanolja
- Today
- Total
전지적 탐구생활
서울 자치구별 급지 순위, 내가 사는 곳은 몇 급지일까? 본문

서울에 살면서 한 번쯤은 궁금해졌던 질문.
“내가 사는 동네는 얼마나 가치 있을까?”
최근 한 블로거가 직접 만든 서울의 지역별 ‘급지(級地)’ 지도를 공개하였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는 단순한 부동산 가격 비교를 넘어, 도시의 구조와 삶의 질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흥미로운 시도였죠.

서울시 급지 지도란?
급지는 말 그대로 ‘등급화된 땅’입니다.
서울의 각 지역을 1급지부터 4급지까지 나누어, 입지·교통·교육·환경·생활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1급지는 강남구 압구정동처럼 교통·교육·상권·환경이 모두 뛰어난 지역이죠.
서울의 급지 분포: 강남은 여전히 최상위에 위치
- 1급지: 압구정, 반포, 잠원, 청담, 삼성, 대치, 이촌 등
- 2급지: 목동, 과천, 금호, 방이, 가락, 흑석, 마포 등
- 3급지: 마곡, 신도림, 신정, 이문, 길음, 보문, 홍제 등
- 4급지: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된 외곽 지역들
이 분류는 단순한 부동산 가격이 아니라, 삶의 질과 미래 가치를 반영한 평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도시의 격차
급지 지도를 보면 서울이라는 도시가 얼마나 불균형적으로 발전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강남과 한강변은 여전히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교육·교통·상권이 집중된 지역은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반면, 일부 외곽 지역은 개발 잠재력이 있음에도 낮은 평가를 받고 있죠.
하지만 중요한 건, 급지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도시의 가치란 단지 점수로 환산될 수 없고,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우선순위에 따라 달라지니까요.
급지별 대표 아파트 시세 비교 (2025년 기준)
서울의 급지별 대표 아파트를 통해 실제 시세 차이를 살펴보면, 도시의 격차가 얼마나 뚜렷한지 체감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KB부동산에서 시세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정리한 2025년 평당 예상 가격입니다.

🏆 1급지: 압구정 현대아파트 (강남구 압구정동)
- 최근 실거래가: 2025년 8월 기준, 84㎡형은 약 59억~61억 원에 거래됨
- 시세 요약: 서울 최고가 아파트 중 하나
- 특징: 한강변, 학군, 교통, 상권 모두 최상급. 재건축 기대감도 높음
🥈 2급지: 잠실 리센츠 (송파구 잠실동)
- 최근 실거래가: 2025년 9월 13일, 22층 84㎡형이 34억 3,000만 원에 거래됨
- 시세 요약: 평균 실거래가 약 31억~34억 원
- 특징: 잠실새내역 도보권, 롯데월드타워 인접, 학군·교통 우수
🥉 3급지: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마포구 아현동)
- 최근 실거래가: 2025년 8월 기준, 84㎡형은 25억~27억 원 수준
- 시세 요약: 평당 약 30~32백만 원
- 특징: 공덕·아현역 더블역세권, 마포 학군, 도심 접근성 우수
🏅 4급지: 여의도 시범아파트 (영등포구 여의도동)
- 최근 실거래가: 2025년 7월 기준, 84㎡형은 22억~24억 원 수준
- 시세 요약: 평당 약 26~28백만 원
- 특징: 한강변, 여의도 업무지구 중심, 재건축 기대감 있음
🏘️ 5급지: 마곡엠밸리10단지 (강서구 마곡동)
- 최근 실거래가: 2025년 3월, 84㎡형이 13억 6,000만 원에 거래됨
- 시세 요약: 평당 약 16백만 원
- 특징: 9호선 마곡나루역 인접, 산업단지 중심, 가성비 우수
🏡 6급지: 상계주공3단지 (노원구 상계동)
- 최근 실거래가: 2025년 6월 기준, 84㎡형은 8억 7,000만 원에 거래됨
- 시세 요약: 평당 약 10~11백만 원
- 특징: 노원역 도보권, 재건축 추진 중, GTX-C 호재 있음
※ 참고/출처:
- KB부동산 시세: 2025년 3분기 기준 평당 시세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 최근 6개월 내 거래된 평균가
- 부동산 커뮤니티 및 블로그 분석: 급지별 대표 단지 선정 기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이 꺼지고 있는 서울 도심, 우리 동네는 괜찮을까? (0) | 2025.09.30 |
---|---|
월 650만원? 지역구의원 실제 수입은? (2) | 2025.09.11 |
2025년 국내 대기업 직원 복지제도 총정리(삼성/현대차/SK/LG/CJ) (4) | 2025.09.10 |
AI 음성 더빙 3대장 분석! TTS 서비스 3종 찐 후기 (0) | 2025.09.06 |
힘든데 돈 안 되는 극한 직업 TOP 5 (2025 최신판) (1) | 2025.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