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탐구생활

야놀자 기업분석 본문

분석

야놀자 기업분석

헬로우 파파 2022. 3. 3. 00:12
반응형

1. 사업성과

- 경쟁사 여기어때컴퍼니(구.위드이노베이션)는 지속 흑자경영을 하며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한 성공한 가운데 야놀자는 본업인 모텔/호텔, 레저 등 예약 서비스에서 '20년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 사업 구조 상으로 보았을 때 단순 O2O 플랫품인 OTA(Online Travel Agency)를 기반으로 R.E.S.T. (Rest / Entertain / Stay / Travel)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를 꾀하는 중입니다.

- 최근 기사에 따르면,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이끄는 비전펀드로부터 2조원 규모를 지원받으며 기업가치를 약 10조원으로 평가받았으며, 테카콘 기업(Decacorn, 기업가치 10조원 이상 평가받는 기업) 으로 인정 받은 가운데 수혈 자금을 바탕으로 글로벌 OTA M&A와 고객 트래픽 증가를 위한 마케팅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한편 비전펀드가 책정한 기업가치를 고려시, Coupang 전례를 비추어 볼 때 미국 IPO를 준비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향후 PMS(Property Management System, 객실관리 자동화 시스템) 사업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호텔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할 계획이며, 전체 인력의 40% 수준인 R&D 인력을 지속 보강하여 Tech 기업으로 성장을 모색하는 한편 중소 경쟁사들과 전략제휴 및 지분투자 등을 통해 사업 기반을 확대해 나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2. 회사 매출구조

- 신종 코로나 확산에 국내외 관광업종의 큰 위기에도 '20년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 매출 구조가 기존 예약수수료 및 광고 수익 등 전형적인 O2O 플랫폼 기반 B2C 수익 구조에서 도급, 객실판매 수익, 로열티 등 B2B 사업으로 포트폴리오가 다변화되고 있으며 '20년부터 해외 매출(0.8억원, 매출비중 0.03%)이 작게나마 발생한 부분은 주목해보아야 할거 같습니다. (※ 별첨 참조)

< 연도별 야놀자 매출액 >

억원
연결
별도 (야놀자 본업 매출)
차이 (관계기업 매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2020
2,888
109
(663)
1,916
159
(638)
972
(50)
(25)
2019
2,474
(135)
(687)
1,335
(64)
(759)
1,139
(71)
72
2018
1,213
(168)
(203)
739
(154)
(193)
474
(14)
(10)
2017
545
(116)
(133)
545
(116)
(133)
0
0
0

- '20년 매출액(연결) 2,888억원 중 본업 外 건설(야놀자C&D), MRO(야놀자유통사업인 비품넷 매출) 사업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 야놀자 연결 매출 구조 (단위: 억원) >

기업명
업종
매출액
당기순손익
매출비중
야놀자
예약
1,916
(638)
64.0%
야놀자C&D
호텔 리모델링
506
24
16.9%
야놀자유통
MRO
154
(6)
5.1%
기타
 
417
(143)
13.9%
별도법인
 
1,916
(638)
64.0%
연결법인
 
1,077
(124)
36.0%
합계
 
2,993*
(762)
100.0%

* 연결 조정 전 종속기업들의 단순 손익 합계로 실제 (조정 후) 연결 숫자와 차이가 있습니다.

 

3. 기업가치

- 여행주로 분류되는 국내 대표 숙박 예약 플랫폼 기업으로 코로나 영향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 가도에 본격 진입한 것으로 보입니다.

- 글로벌 대표 OTA인 Airbnb 시가총액 약 88.9bn (약 100조원)으로, 해외에서는 이러한 O2O 플랫폼이 높은 가치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Airbnb '20년 매출액 USD 3.37bn 영업이익 -3.44bn / '19년 매출액 4.81bn 영업이익 -0.50bn

4. 주요주주

- (국내) 한화자산운용, SBI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스카이레이트인베스트먼트 등

- (해외) GIC* (Singaporean sovereign wealth fund)

* '19.6 GIC와 부킹홀딩스로부터 약 2100억원 투자유치시 기업가치 1.1조원 수준으로 평가

5. 투자유치 현황

 
투자사
투자액
2021.07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약 2조원
2019.02
GIC - Series D
2,000억원
2017.12
아주IB - Series C
200억원
2017.06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600억원
2016.04
SL인베스트먼트
150억원
2015.07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100억원

※ 별첨: 연결 기준 매출구조 (B2C / B2B 분류는 추정으로 정확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억원)
2020년
비중(%)
2019년
비중(%)
상품매출
251
9%
416
17%
광고수익
602
21%
494
20%
판매수수료수익
983
34%
711
29%
객실판매수익
334
12%
124
5%
숙박수입
106
4%
165
7%
위탁운영수입
2
0%
10
0%
도급매출
486
17%
450
18%
설계매출
16
1%
16
1%
용역매출
22
1%
27
1%
식품매출수입
2
0%
0
0%
로열티수익
58
2%
44
2%
기타
22
1%
15
1%
합 계
2,885
100%
2,472
100%
 
2020년
2019년
증감
B2C
70%
60%
10%
B2B
29%
39%
-10%

 B2C / B2B 분류는 추정으로 정확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회사가 제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부정확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식 종목 추천 목적이 아니며 주식 투자는 자신의 책임과 판단하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